맨위로가기

어머니 (1926년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머니 (1926년 영화)는 1926년에 제작된 무성 영화로, 막심 고리키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프세볼로트 푸도프킨이 감독했다. 이 영화는 1905년 러시아를 배경으로, 알코올 중독자 남편과 사회주의 혁명 운동에 가담한 아들 파벨을 둔 펠라게야의 이야기를 그린다. 파벨은 체포되어 투옥되고, 펠라게야는 아들을 구출하기 위해 혁명 운동에 참여하지만, 파벨은 사망하고 펠라게야는 혁명의 깃발을 들고 저항하다가 죽음을 맞이한다. 영화는 몽타주 기법을 통해 혁명적 메시지를 전달하며, 혁명의 승리를 암시하는 붉은 깃발 장면으로 마무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심 고리키 원작의 영화 작품 - 밑바닥 (영화)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이 1957년에 제작한 영화 밑바닥은 막심 고리키의 희곡을 원작으로 에도 시대 말 빈곤한 하층민들의 삶과 인간의 고독, 사회 부조리를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사회적 약자의 고통과 인간 존엄성을 섬세하게 드러낸 일본 영화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 막심 고리키 원작의 영화 작품 - 지하세계 (영화)
    장 르누아르 감독의 프랑스 영화 《지하세계》는 막심 고리키의 희곡 《밤주막》을 원작으로, 빈민굴에서 만난 남작과 도둑을 중심으로 빈민굴 사람들의 삶과 사랑, 질투, 살인, 희망을 묘사하며 누아르 영화에 영향을 준 1940년대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 1926년 영화 - 아리랑 (1926년 영화)
    《아리랑》은 1926년 나운규 감독, 각본, 주연의 무성 영화로, 일제강점기 3·1 운동 이후 암울한 현실 속 정신이상자가 된 주인공을 통해 민족의 울분과 저항 정신을 상징적으로 그려낸 한국 영화사의 중요한 작품이다.
  • 1926년 영화 - 파우스트 (1926년 영화)
    파우스트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무르나우가 감독하고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희곡을 바탕으로 제작된 1926년 독일 무성 영화로, 메피스토펠레스와 파우스트의 계약과 그로 인한 비극을 다루며 인간의 욕망과 구원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독일 표현주의 대표작이다.
  • 소련의 드라마 영화 - 대지 (1930년 영화)
    대지 (1930년 영화)는 올렉산드르 도브젠코가 감독한 영화로, 우크라이나 집단농장화 과정을 배경으로 늙은 농부의 죽음, 트랙터 도입, 집단농업 갈등, 바실의 죽음을 통해 변화하는 사회상을 몽타주 기법으로 묘사한다.
  • 소련의 드라마 영화 - 안드레이 루블료프 (영화)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감독의 영화 《안드레이 루블료프》는 15세기 러시아 격동기를 배경으로 성상 화가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삶과 예술혼, 내면적 갈등, 외부 세계의 폭력, 예술가로서의 성장을 7개의 에피소드로 깊이 있게 묘사하며 칸 영화제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을 수상하는 등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어머니 (1926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포스터
감독프세볼로트 푸도프킨
각본나탄 자르히
원작막심 고리키어머니
주연베라 바라노프스카야
음악다비드 블로크 (1935년)
티혼 흐렌니코프 (1970년)
제작사메즈라폼필름
상영 시간89분
국가소비에트 연방
언어무성 영화
러시아어 자막

2. 줄거리

1905년 러시아, 블라소프는 알코올 중독자이자 폭력적인 남편이자 아버지로, 공장의 배관공으로 일하고 있었다. 그의 아내 펠라게야는 성인이 된 아들 파벨의 보호를 받으며 고통받고 있었다. 파벨은 지역 사회주의 혁명가들을 위해 소량의 권총을 집 마룻바닥 밑에 숨기기로 하고, 펠라게야는 이를 몰래 지켜본다. 블라소프는 반동 단체인 흑백당 요원들에게 보드카를 권유받고, 그들은 그를 공장에서 계획된 노동자 파업을 선동하는 사람들에 대항하는 폭력배로 이용할 계획이었다. 파업이 실패로 돌아가는 소동 중에 블라소프는 혁명가에 의해 실수로 총에 맞아 죽는다. 펠라게야는 큰 충격을 받고 아들에게 차르 경찰과 군대에 협력해 달라고 간청하지만, 파벨은 거절한다. 펠라게야는 아들의 숨겨진 무기를 폭로하면 아들이 구원받을 것이라고 순진하게 생각하여, 아들의 비밀을 당국에 알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벨은 니콜라이 2세의 흉상과 지역 부르주아 사회의 경멸적인 시선 아래 반역 혐의로 체포되어 재판을 받는다. 재판에서 판사들은 지루해하고 변호인은 무능했으며, 파벨은 종신 중노동형을 선고받는다.

펠라게야는 5월 1일 시위 중에 감옥 탈출을 계획하는 혁명가들과 함께한다. 교도소 뜰에서 수감자들은 경비원을 제압하고 탈출한다. 파벨은 따로 탈출하여 총격을 받으면서 얼음 덩어리 위를 건너 강을 건너는 탈출을 감행한다. 파벨과 펠라게야는 잠시 재회하지만, 파벨이 펠라게야를 껴안는 순간 차르 군대에 의해 총에 맞아 죽는다. 펠라게야는 사회주의 깃발을 높이 든 저항적인 기수가 되어 기병대의 발굽 아래 짓밟혀 죽는다. 마지막 몽타주는 요새, 교회, 공장, 마지막으로 크렘린의 성벽과 탑의 이미지를 보여주며 맨 위에는 같은 깃발이 펄럭이는 모습을 보여준다.

3. 등장인물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 베라 바라노프스카야 - 펠라게야 닐로브나 블라소바(어머니) 역
  • 니콜라이 바탈로프|니콜라이 바탈로프영어 - 파벨 블라소프(아들) 역
  • 알렉산드르 치스차코프 - 블라소프(아버지) 역
  • 안나 젭초바 - 안나(혁명 소녀) 역
  • 이반 코발-삼보르스키 - 베소브츠니코프(파벨의 친구) 역
  • 브세볼로트 푸도프킨 - 경찰관 역
  • V. 사비츠키 - 이사이크 고르보프(작업 반장) 역
  • N. 비도노프 - 미샤(노동자) 역
  • F. 이바노프 - 교도소장 역 (크레딧 없음)
  • 이반 보브로프 - 젊은 죄수 역 (크레딧 없음)
  • 블라디미르 우랄스키 - 학생 역 (크레딧 없음)
  • 알렉산드르 그로모프 - 혁명가 역 (크레딧 없음)

3. 1. 주요 인물


  • 베라 바라노프스카야 - 펠라게야 닐로브나 블라소바(어머니) 역
  • 니콜라이 바탈로프|니콜라이 바탈로프영어 - 파벨 블라소프(아들) 역
  • 알렉산드르 치스차코프 - 블라소프(아버지) 역
  • 안나 젭초바 - 안나(혁명 소녀) 역
  • 이반 코발-삼보르스키 - 베소브츠니코프(파벨의 친구) 역
  • 브세볼로트 푸도프킨 - 경찰관 역
  • V. 사비츠키 - 이사이크 고르보프(작업 반장) 역
  • N. 비도노프 - 미샤(노동자) 역
  • F. 이바노프 - 교도소장 역
  • 이반 보브로프 - 젊은 죄수 역
  • 블라디미르 우랄스키 - 학생 역
  • 알렉산드르 그로모프 - 혁명가 역

3. 2. 조연


  • 안나 젭초바 - 안나, 혁명 소녀 역
  • 이반 코발-삼보르스키 - 베소브츠니코프, 파벨의 친구 역
  • V. 사비츠키 - 이사이크 고르보프, 작업 반장 역
  • N. 비도노프 - 미샤, 노동자 역
  • F. 이바노프 - 교도소장 역 (크레딧 없음)
  • 이반 보브로프 - 젊은 죄수 역 (크레딧 없음)
  • 블라디미르 우랄스키 - 학생 역 (크레딧 없음)
  • 알렉산드르 그로모프 - 혁명가 역 (크레딧 없음)
  • 안나 - 아들의 연인: 안나 젭초바
  • 베소프치치니코프 - 아들의 친구: 이반 코발-삼빌스키

4. 제작진


  • 원작: 막심 고리키
  • 각본: 나탄 자르히
  • 감독: 브세볼로트 푸도프킨
  • 촬영: 아나톨리 골로브냐|아나톨리 골로브냐영어
  • 미술: 세르게이 코즐로프스키
  • 음악: 다비드 브로크 (1935년판), 티혼 흐렌니코프 (1970년판)
  • 제작: 메주랍 루시 모스필름


출연
배우역할비고
베라 바라놉스카야펠라게야 닐로브나 블라소바어머니 역
니콜라이 바탈로프파벨 블라소프아들 역
알렉산드르 치스차코프블라소프아버지 역
안나 젭초바안나혁명 소녀 역
이반 코발-삼보르스키베소브츠니코프파벨의 친구 역
브세볼로트 푸도프킨경찰관 역
V. 사비츠키이사이크 고르보프작업 반장 역
N. 비도노프미샤노동자 역
F. 이바노프교도소장 역크레딧 없음
이반 보브로프젊은 죄수 역크레딧 없음
블라디미르 우랄스키학생 역크레딧 없음
알렉산드르 그로모프혁명가 역크레딧 없음


5. 제작 과정 및 스타일

푸도프킨은 몽타주 기법을 적극 활용하여 배우의 심리적 연기보다는 장면의 시각적 연결과 충돌을 통해 관객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기고자 했다. 그는 저서 《영화 기법과 영화 연기》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다. "나의 초기 영화 《어머니》에서 나는 배우의 심리적 연기가 아닌 몽타주를 통한 플라스틱적 종합으로 관객에게 영향을 미치려 했다."[6][12]

그리고리 로찰은 푸도프킨의 혁신적인 스타일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그는 영화에서 몽타주를 통해 인물을 창조한다는 아이디어를 처음 도입함으로써, 소설에서 디킨스가 해낸 일을 영화에서 해냈다."[7]

6. 평가

영화 감독 그리고리 로찰은 푸도프킨의 혁신적인 스타일에 대해 "그는 영화에서 몽타주를 통해 인물을 창조한다는 아이디어를 처음 도입함으로써, 소설에서 디킨스가 해낸 일을 영화에서 해냈다."라고 평가했다.[7][13] 1958년 브뤼셀 만국 박람회에서 벨기에 왕립 시네마테크 주최로 열린 영화사 베스트 10에서 8위에 선정되었다.

7. 한국에서의 공개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와 군사정권 시절 이 영화의 수입이 금지되었다. 이는 영화가 담고 있는 혁명 사상과 노동 운동에 대한 묘사가 당시 체제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1970년 모스필름에서 복원한 판본(티혼 흐렌니코프 음악)이 처음으로 공개되었다.[14]

8. 에피소드

푸도프킨은 자신의 저서 《푸도프킨 영화 연출론》, 《푸도프킨 영화 배우론》에서 "나는 초기 작품 《어머니》에서 관객에게 감동을 주려고 시도했다. 배우의 심리적인 연기가 아니라 편집으로 플라스틱을 통합함으로써."라고 썼다.[12]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Russian and Soviet Cinema Rowman & Littlefield
[2] 서적 The Film and the Public https://archive.org/[...] Pelican Books
[3] 웹사이트 Мать http://www.vokrug.tv[...] VokrugTV
[4] 뉴스 Russian Film Banned https://www.britishn[...] 2018-12-28
[5] 웹사이트 Tikhon Khrennikov – Works http://home.wanadoo.[...]
[6] 서적 Film technique and Film acting. The cinema writings of V.I. Pudovkin https://archive.org/[...] Vision Press Limited
[7] 서적 Experiment in the Film https://archive.org/[...] The Grey Walls Press Ltd.
[8] 서적 The Film and the Public https://archive.org/[...] Pelican Books
[9] 웹사이트 聖ペテルブルクの最後 http://www.athenee.n[...] アテネ・フランセ文化センター
[10] 웹사이트 Мать http://www.vokrug.tv[...] VokrugTV
[11] 서적 映画史上ベスト200シリーズ・ヨーロッパ映画200 キネマ旬報社 1992-05-30
[12] 서적 Film technique and Film acting. The cinema writings of V.I. Pudovkin https://archive.org/[...] Vision Press Limited
[13] 서적 Experiment in the Film https://archive.org/[...] The Grey Walls Press Ltd.
[14] 웹사이트 Tikhon Khrennikov – Works http://home.wanado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